2024년 확 달라진 청약제도, 체크포인트는?
◆ 혼인에 대한 주택청약 불이익 해소!
·맞벌이 소득기준 개선
지금까지는 공공주택 특별공급에서 맞벌이 부부는 연간 합산소득 기준이 약 1.2억 원이었으나,
앞으로는 합산 연소득 약 1.6억 원까지 청약 신청이 가능해집니다!
·그 외 이런 제도도 바뀝니다!
① 배우자 이력 미제공
- 생애최초·신혼부부·신생아 특별공급 시 혼인 전 배우자의 당첨 이력 및 주택소유 배제
② 부부 중복신청 허용
- 부부가 당첨일이 같은 주택에 중복으로 당첨되어 부적격 처리 시 먼저 접수한 청약은 유효하게 처리
◆ 혼인 인센티브 및 자격 완화!
·배우자 통장기간 합산
민영주택 가점제에서 본인의 통장 기간만 인정되었지만, 이제 배우자 통장 기간의 50%(최대 3점)까지 합산 가능한데요. 기간을 합치면 청약 당첨 기회를 높일 수 있겠죠?
·그 외 이런 제도도 바뀝니다!
① 다자녀 특공 자격 완화
- 자녀 수 요건을 ‘2명 이상’으로 변경
② 추첨제 신설
- 모든 특별공급 유형에 추첨제를 신설해 맞벌이 부부의 청약 기회 확대
◆ 출산가구 지원 혜택!
·출산가구 소득, 자산요건 완화
공공주택 청약 시 둘째 자녀*가 있는 경우에는 최대 20%p 가산된 소득과 자산요건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!
*23.3.28 이후 출생자녀
·그 외 이런 제도도 바뀝니다!
① 신생아 특별공급(공공), 신생아 우선공급(민영)
- 입주자모집공고일 기준 2년 이내 출생한 자녀(임신, 입양 포함)가 있는 가구를 대상으로 한 물량 확대
*뉴홈(공공분양) 연 3만 호, 민간분양 연 1만 호, 공공임대 연 3만 호
② 신생아 특별(우선)공급 시 대출 지원
- 출산가구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신생아 특별(우선)공급 청약 당첨 시 입주 시점에 신생아 특례 디딤돌 대출도 지원할 계획
청약에도 전략이 필요합니다.
1. 자신의 장점을 살린 청약(특별공급, 일반공급) 전략.
2. 여러개 특별공급(신특, 생초, 다자녀) 중 당첨 확율 높은 특공 선택하기.
3. 예비당첨자 선정 방식에 따른 청약전략.
청약 가점은 올릴 수 없지만 전략만 잘 짜면 내집마련 더 빨리 할수 있습니다.
이를 함께 실현하는 모두의 청약 카페를 소개합니다.
'부동산정보 > 청약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청약지식] 청약에서 부양가족수 산정 사례 (0) | 2024.06.06 |
---|---|
[청약지식] 청약에서 주택수 산정 방법(예시) (0) | 2024.06.06 |
공공 분양 특별공급별 할당 비율(지역 할당, 소득 조건, 신생아 우선) (0) | 2024.04.01 |
민영 분양 특별공급별 할당 비율(지역 할당, 소득할당, 신생아우선) (0) | 2024.03.26 |
[모두의 청약] 청약기초 세미나 자료 (0) | 2024.03.20 |